코드넘버4/인사이트(5)
-
포스터, 광고매체 통해 알아보는 마케팅의 접근법
광고매체, 포스터안녕하세요, 코드넘버4 석대표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포스터'에 대해 다뤄볼까 합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파피루스로 포스터를 만들었고 폼페이의 건물 외벽에서도 상업 및 정치적인 목적으로 붙인 것이 발견될 정도로 역사가 깊은 매체입니다. 요즘에는 광고판을 많이 볼 수 있는데요, 여전히 그 효과가 오늘의 주제로 다뤄볼 것에 맞먹을 만큼 영향력 있는 매체는 많지 않습니다.단어의 어원은 'post'라는 말에서 유래했는데, 이것이 붙어 있던 도로변의 나무 기둥을 뜻합니다. 최근에는 옥외 매체라는 단어를 주로 쓰며, 거리 곳곳에서 마주치는 모든 실외 광고물을 가리킵니다. 건물이나 도로에 부착되거나 설치된 광고판 뿐만 아니라 버스, 기차, 택시, 비행기 등에서 볼 수 있는 것도 모두 포함되죠. 초창기..
2021.09.18 -
공유경제 업체의 소비자 분석을 통한 포지셔닝
안녕하세요, 코드넘버4 석대표입니다. 이제부터 저 혼자 실전에서 익힌 기술들에 마케팅 이론을 매칭시키는 그 모든 흐름을 시간이 될 때마다 기록해볼까 합니다. 공유경제 업체, 포지셔닝 방법 feat. 소비자 분석그 첫 번째로 다뤄볼 사례는 에어비앤비인데, 이 회사의 기본 비즈니스모델은 공유경제입니다. 이용하지 않는 시설이나 장비를 활용함으로써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빌려주거나 빌리는 사람 모두에게 경제적으로 혜택을 제공할 수 있어서 새로운 경제패러다임을 이끄는 착한소비 모델로도 각광을 받고 있죠. 우리가 주목할 포인트는 이 업체가 성공을 했던 이유인데, 포지셔닝을 잘했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Positioning 이란, 소비자의 마음 속에 기업이나 본인의 아이템을 가장 유리하게 각인시키려 노력하는 과정이라 할..
2021.09.06 -
최초의 성립 조건은 내면에 있습니다.
최초의 성립 조건안녕하세요, 코드넘버4 석대표입니다. 오늘은 그동안 생각해보았던 ‘최초’가 되지 못하거나 아닌 분들이 궁금해하시던, 어떻게 하면 최초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적어보려 합니다. 이 글은 제가 그동안 많은 이들을 겪으면서 느껴왔던 것들로 구성한 글이고, 제 사상으로 경험을 판단한 것이며, 각기 다른 입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생각해보기우리는 가끔, 누군가가 만들어둔 어떠한 것을 보면서, ‘아, 나는 왜 이 생각을 못했지?’라고 하거나 ‘만약 나라면... 이것보다 어떻게 저렇게 했을 것 같아!’라고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말은, 누구나 다 할 수 있었다는 말입니다. 하지만 그 말을 하는 이들은 왜 최초가 되지 못했을까요? 최초가 아니기 때문에 그 말을 한다는 것은 인지를 할까요?저는 그들의..
2021.09.06 -
최초에 대한 인식의 차이, 모든 것은 ‘생각’으로부터 시작된다.
최초, 그리고 무의식안녕하세요, 코드넘버4 석대표입니다. 연재가 조금 늦지만 그만큼 알차게 준비하려 하니 양해 바랍니다! :D 이번에는 저번에 언급했던 ‘최초’에 대한 간단한 사례, ‘무의식’과 관련된 이야기와 그를 바라보는 입장들에 대해 적어볼까 합니다. 최대한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오늘도 생각하면서 읽어보셔요!최초와 무의식에 대한 이야기저는 20대 중반의 나이로, 마케팅을 공부하는 분, 성공한 사업가 분과 함께 담소를 나누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분들은 늘 그랬듯, 공통 관심사였던 ‘마케팅’에 대한 이야기를 했고,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은 마케팅의 끝은 ‘심리’와 연결이 되어있다는 것을 너무나 잘 알고 있었기에 결국 ‘무의식’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죠. 이해를 돕기 위해 그 일화를 살짝 각색했습니다.입..
2021.09.06 -
최초는 최고를 뜻한다. 하지만 최고는 최초를 만든다.
최고 vs. 최초안녕하세요, 코드넘버4입니다. 요즘 블로그로 사업하시는 분들 참 많죠. 다들 고생들이 많으신 것도 너무나 잘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마케팅에 대한 생각을 조금씩 풀어서 여러분과 소통을 하며 더 '재미있는 마케팅'을 공부해보면 어떨까 싶어, 요즘 블로거 사이에서 핫한 이야기부터 준비했습니다. 끝까지 읽어야 알 수 있음따라서 이 카테고리의 글은 여러분과 토론 형식으로 가고자 하며, 덧글을 통해 좋은 생각, 궁금한 것들, 좋던 안 좋던 사례를 나눠보고 싶습니다. 제가 약간 심각하게 다차원이어서 이해를 못 할 수도 있으시겠다 싶지만, 많은 참여 제가 강의 중에 강조하는 블로그의 가장 중요한 원칙 중 하나 를 부탁드립니다.또한 글을 작성할 때 많은 곳으로 생각이 뻗칠 수 있도록 여지를 조금..
2021.08.31